![[Network] ARP, RARP,GARP 개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11fw1%2FbtqBUS6ug9V%2F3KFThmyYxf9pjKqtgYSE7k%2Fimg.png)
[Network] ARP, RARP,GARP 개념Network/Network Theory2020. 2. 11. 15:51
목차 📖
반응형
1.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를 이용해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
ARP 요청·응답 완료되면 ARP table에 각 노드의 ARP 정보를 저장한다.
ARP 요청: 특정 IP주소에 대해 MAC주소를 요구, MAC 주소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브로드 캐스트로 전송한다.
ARP 응답: 요청한 MAC 주소 정보를 유니캐스트로 전송한다.
2.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MAC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
RARP 요청: MAC정보를 담고있는 RARP 정보를 브로드 캐스트로 전송한다.
RARP 응답: 요청자의 IP 주소를 담은 RARP 응답을 유니캐스트로 전송한다.
3. GARP (Gratuious ARP)
송신 IP와 수신 IP가 동일한 ARP 요청이다.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IP 충돌 감지, ARP 테이블 갱신 용도로 사용한다.
728x90
반응형
'Network > Network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Domain Name System)란? (3) | 2022.10.03 |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란? (0) | 2020.08.19 |
[Network]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란? (0) | 2019.11.20 |
[Network] HTTP 개념 (0) | 2019.10.30 |
Web(World Wide Web) 이란? (0) | 2019.10.29 |
@피망IT :: Peemang IT Blog
공부&일상 블로그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