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P(Network Time Protocol)
- 시간 동기화 프로토콜이다.
- 포트번호는 UDP 123번을 사용한다.
- 모든 Server와 Network Device 등의 시스템 시간 정보를 갖고 있다.
- 관리자가 설정을 통해 시간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Ex) Cisco Device 시간 수동 설정 clock set 10:00:00 25 Oct 2019 |
- 위와 같이 관리자가 Device의 시간을 수동으로 변경할 경우 각 Device마다 시간의 오차가 발생될 확률이 크다.
- 추후 장애 처리 및 보안 사고 발생 시 잘못된 로그 분석을 수행할 위험을 갖게 된다.
- 내부의 모든 System들은 동일한 Time Server로부터 시간을 동기회 받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NTP를 사용)
- 특정 Domain의 모든 Device들이 외부의 공개 NTP 서버로부터 직접 시간을 동기화 받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유는 중복된 NTP 요청과 응답 트래픽이 외부 인터넷망으로 전송되기 때문이다.
-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Domain 내부의 특정 서버를 NTP 서버로 구성하여 내부의 모든 Device들은 해당 서버로부터 시간을 동기화 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 Windows Server와 Linux Server Cisco Router 등 에 NTP 서버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작 방식
- 최초 클럭 동기는 5~10분 동안 모두 6번의 시간 교환을 통해 이루어진다.
- 그 후 매 10분마다 메시지 교환을 통해 클럭 수정한다.
Stratum 번호
- Stratum 1 Time Source와 가장 가까운(신뢰도가 높은) 서버이다.
- Stratum 번호가 증가할수록 신뢰도가 점점 낮아진다.
'Network > Network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HTTP 개념 (0) | 2019.10.30 |
---|---|
Web(World Wide Web) 이란? (0) | 2019.10.29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이란? (2) | 2019.10.24 |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이란? (0) | 2019.10.24 |
트렌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L4) 이란? (0) | 2019.09.28 |
공부&일상 블로그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