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nk 포트(Tagged 포트)
- 하나의 포트에 다수의 VLAN 트래픽이 통과할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한다.
-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Switch에 동일 VLAN들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된다.
- Trunk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스위치끼리 통신할 경우 동일 VLAN 사이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 서로 다른 VLAN 사이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L3 Device를 통해 Routing되어야 한다. (논리적으로 다른 Network이기 때문에 라우팅이 필요하다.)
- Frame을 전달할 때 Tag(Vlan정보)를 붙여서 전송을 한다.
- 전달받은 스위치는 PC LAN 카드가 Tag를 인식하지 못 하므로PC에 전달하기 위해 Tag를 제거한다.
Trunk 방식
1. IEEE 802.1q (dot1q)
- 표준 방식(호환성) / 4Byte의 TAG이 추가되는 방식
- Native VLAN 지원 / Extended(확장) VLAN 지원.
- Ethernet extended(확장) VLAN: VLAN 1006 - 4094
-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 TAG 세부 설명
- Ethertype: 어떤 Type을 쓰는지 설정(IPv4, IPv6 ...)
- PRI(3bit): Vlan 우선순위 결정
- VLAN ID(12bit): 어떤 VLAN으로 갈지 설정
Native VLAN 개념
- 스위치에서 스위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VLAN 태그정보를 붙이지 않고 전송하는 것이다.
- 하나의 VLAN만 설정할 수 있고 기본 Native VLAN은 1번이다.
- 사용자가 임의로 Native VLAN 번호를 바꿀 수 있다.
2. ISL
- Cisco 전용 / 30Byte의 Header와 Footer를 Encapsulation 하는 방식.
- Native VLAN 지원 X / Extended(확장) VLAN 지원 X
트렁크 포트 구성 방법은 다음 게시물을 클릭해 주세요
https://peemangit.tistory.com/10
'Network > Swit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LAN Routing 구성 (0) | 2019.09.30 |
---|---|
VLAN, Trunk 구성 (0) | 2019.09.28 |
Trunk Port 구성 (5) | 2019.09.27 |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ransparent bridging) 이란? (1) | 2019.09.26 |
스위치(Switch) 란? (0) | 2019.09.26 |
공부&일상 블로그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