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로 라우팅 SVI 100: 1.1.10.254/24 SVI 200: 1.1.20.254/24 SVI 300: 1.1.30.254/24 SVI 400: 1.1.40.254/24 - 각각의 VLAN을 SVI를 이용하여 통신되게 설정 백본 스위치 설정 트렁크(Trunk) 설정 BB(config)#int fastethernet 0/10 BB(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0,200,300,400 BB(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BB(config-if)#switchport native vlan 100 BB(config-if)#switchport nonegotiate L3스위치 설정..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 SVI는 Switch에서 사용하는 가상(논리적) Interface이다. - show running-config를 입력해보면 관리자가 별도로 생성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VLAN 1의 SVI가 생성되어 있다. (L2 / L3 Switch 공통) - VLAN 1뿐만 아니라 VLAN Database에 있는 VLAN을 사용하여 필요한 경우 해당 VLAN의 SVI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SVI를 사용하는 목적 1) L2 Switch - 관리(ManangeMent) 용도: Remote Connect(Telnet / SSH / SYSLOG / NTP / SNMP ...) 2) L3 Switch - 관리(ManangeMent) 용도: Remote Conne..

1. Switch Port 역할 1) L2 Port IP 주소가 할당되어있지 않다. Switch Port Mode (Access / Trunk / Tunnel) 2) L3 Port IP 주소가 할당되어있다. Routed Port /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L2 Switch(catalyst 2960)의 경우 물리적인 포트는 ‘Switchport(L2)’ 역할만 가능하기 때문에 IP주소를 할당할 수 없고, Access / Trunk / Tunnel 모드로 동작된다. L3 Switch(Catalyst 3550 이상)의 물리적인 포트는 ‘Switchport(L2)’ 역할과 ‘Routed Port(L3)’ 역할 중 하나를 관리자가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Sw..

VLAN이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기 위해 사용하는 논리적인 LAN이다. 스위치에 흐르는 데이터를 분석하려면 허브와는 달리 Port Mirroring 기능을 사용해야한다. Network 구성도 - 1F에 교실(VLAN 100) , 행정실(VLAN200), 교수실(VLAN300)으로 구성되어있다. - 2F, 3F에도 똑같이 3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다른 VLAN으로 구성되어있다. - 각 층에있는 교실, 행정실 교수실을 Switch를 이용하여 연결해야 한다. - VLAN100번은 Native Port로 연결해야 한다. Trunk 포트 - 복수개의 VLAN을 구성할 경우 스위치는 모든 VLAN을 전송해야 함으로 Trunk 포트를 사용해야한다. SW1 ~ 3(F1 ~ F3 S..

기본 네트워크 구성 - Network 대역이 1.1.1.0/24이고 이 네트워크가 VLAN10, VLAN20번으로 나누어져 있다. - Switch 2개가 FastEthernet 0/20 으로 서로 연결되어있다. - VLAN 10 대역과 VLAN 20 대역을 Trunk포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려고 한다. TrunkPort 구성(DTP: Dynamic Trunk Potrt) - description: 주석 추가 - switchport mode trunk: 스위치를 트렁크로 설정 -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 허용할 VLAN ID설정 - switchport nonegotiate: DTP(Dynamic Trunk Port) 전달하지 않게 설정 1번 Switch switch1(confi..
1. 스위치(Switch) 개념 스위치(switch)는 처리1 가능한 패킷의 숫자가 큰 것으로, 네트워크 단위 들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로서 소규모 통신을 위한 허브보다 전송 속도가 개선된 것이다. Switch는 전통적인 L2 Switch 와 Multi Layer Switch(MLS) L3 / L4 / L7 Switch로 구분된다. 1) 스위치 구분 LAN Switch : Etherent Switch / Token ring Switch / FDDI Switch WAN Switch : x.25 Switch / Frame relay Switch / ATM Switch WAN구간의 PPP / HDLC Protocol은 점대점(Point-to-Point)연결이기 때문에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다. 2) LAN 스위치..